이차전지 관련주 및 산업지식과 전망

이번 편은 한국의 핵심산업인 이차전지 산업의 분석입니다.

 

이차전지의 중요 소재인 양극재, 음극재, 전해액, 분리막을 저번 편에서 다룬 바 있습니다. 이런 소재를 통해 이차전지(배터리) 자체를 생산하는 산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투자할 수 있는 기업은 모두 대기업이며 LG그룹, SK그룹, 삼성그룹에 속해 있습니다. ETF를 통해서도 투자가 가능합니다.
명실상부하게 한국의 미래 산업으로 꼽히는 산업입니다. 다만 최근에 매우 올랐기 때문에 투자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미국의 종목은 사실상 아직 배터리 개발에 성공하지 않는 회사로 투자가 매우 위험합니다.

관련하여 투자할 수 있는 종목

(추천 종목은 아닙니다. 해외시장은 써드린 영어 티커로 검색하시면 편합니다.) 
한국: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이노베이션(SK그룹의 배터리회사인 SK온의 최대주주로 SK온은 비상장이기때문에 투자할 수 없음), KODEX 2차전지산업 ETF(삼성 SDI 19.6%, LG에너지솔루션 15.3%, SK이노베이션 14.4%)
삼성KRX2차전지 K-뉴딜 ETN(포스코퓨처엠 32.8%, LG에너지솔루션 21.1%, 삼성 SDI 20.7%)
미국: SLDP(솔리드파워, 전고체 배터리 생산을 개발하고 있는 회사로 아직 배터리 생산을 못하고 있음!), QS(퀀텀스케이프, 전고체 배터리 생산을 개발하고 있으나 아직 개발 미정임)
일본: 파나소닉(테슬라에 납품중)

<이차전지 산업 지식>

>이차전지는 충전이 가능한 전지로서, 사용한 후에 다시 충전을 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이차전지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특히 모바일 기기, 전기 자동차, 에너지 저장장치 등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이차전지의 구성은 양극재, 음극재, 전해액, 분리막, 수송자(이차전지 모듈을 보관하기 위한 용기나 케이스)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충전 시 양극과 음극의 전하 상태가 반대로 바뀌며, 방전 시 다시 전하 상태가 원래 상태로 돌아갑니다. 이러한 충전과 방전 과정에서 전기 에너지가 생성되거나 저장됩니다.

이차전지 산업은 현재 전기 자동차 산업의 급속한 성장과 함께 큰 발전을 이루고 있습니다. 전기 자동차는 대기 오염과 기후 변화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이차전지는 전기 자동차의 주요 구성 요소 중 하나입니다. 또한, 태양광 발전 및 풍력 발전과 같은 대규모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서도 이차전지가 널리 사용됩니다.

이차전지 산업은 충전 시간 단축과 용량 증가 등을 비롯한 기술적 발전과 함께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 이차전지 산업은 미래 에너지 산업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차전지 산업 전망>

이차전지 산업은 전기 자동차 산업과 함께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으며, 미래 에너지 산업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전기 자동차, 에너지 저장장치, 태양광 및 풍력 발전 등의 분야에서 이차전지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전기 자동차 시장은 국제적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이는 전기 자동차의 인프라와 충전 시설이 보다 발전하고, 이차전지 기술이 보다 발전하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이차전지 산업은 더욱 성숙하고 안정적인 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태양광 및 풍력 발전과 같은 대규모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서 이차전지의 수요도 예상됩니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에너지 공급과 수요를 조절하여 전력망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차전지 산업은 지속적인 기술적 발전과 함께 에너지 저장 시스템 분야에서도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이차전지 산업은 여전히 문제점도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이차전지의 안전성 문제와 환경 문제가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들은 이차전지 산업에서 기술적인 발전뿐 아니라 제도적인 조치도 필요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이차전지 산업은 지속적인 기술적 발전과 함께 미래 에너지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이차전지 산업이 안전하고 환경 친화적인 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기술적인 발전 뿐 아니라 제도적인 조치도 필요할 것입니다.

이차전지 구성요소 및 산출물(출처 포스코 뉴스룸)

참조해볼만한 사이트: https://newsroom.posco.com/kr/2%EC%B0%A8%EC%A0%84%EC%A7%80-%EB%93%A4%EC%96%B4%EB%8A%94-%EB%B4%A4%EB%8A%94%EB%8D%B0-%EC%95%84%EC%A7%81-%EC%9E%98-%EB%AA%A8%EB%A5%B4%EA%B2%A0%EB%8B%A4%EB%A9%B4/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