퀀트투자_유명간 수석연구위원 최근 퀀트 관점(2023년 3월 17일)

본 블로그는 주식투자 관련 유명한 대가들의 의견을 번역 및 요약하여 소개하는 곳입니다. 저의 의견은 아니며 투자권유도 아닙니다. 다년간 성과가 좋았던 고수들의 뷰를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

 

유명간 미래에셋증권 수석연구위원 / 퀀트 전문가

 

유명간 수석연구위원이 2023년 3월 17일 삼프로에 나와 국내주식을 퀀트관점에서 접근하여 설명하였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48p0NDUlqSU )

 

현재시점 매수는 추천하지 않았고 매출액이 10%정도 하향할 때 실적의 바닥이 나올 것 같다고 전망해주셨습니다.
반도체 및 이차전지는 1분기 실적을 보고 대처하자고 하셨구요

좋은 투자포인트는 매출과 재고 였습니다. 매출이 늘어나고 재고가 줄어드는 기업의 주가 상승률이 통계적으로 높다고 합니다. 다른 포인트로는 지수보다는 개별종목으로 투자하자 입니다.

 

<간단요약>

1. 주식 기대수익률

 - 미국과 한국 주식시장의 Equity Risk Premium(ERP=주식 기대수익률) 낮은 수준이기 때문에 기대하는 수익률이 낮다.

지수보다는 개별종목으로 수익을 내야 하는 상황이다.  기대수익률이 낮은 이유는 코로나시대 이후 금리 상승으로 최근 주가 조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할인율이 높기 때문이다.

 

2. 밸류에이션 점검

 - 밸류에이션을 구할 때 할인율을 구성하는 것이 두 가지가 기대수익률과 미국채 10년물인데 여전히 미국 금리(미국채10년물)은 높기 때문에 좋은 밸류에이션을 주기는 어렵다.

 - 금리가 내려간다고 해서 바로 밸류에이션을 좋게 주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실적 예측이 어렵기 때문이다.

23년~24년도 매출액 컨센서스 보다 매출액이 10%가 하향조정된다면 실적의 바닥이라고 생각한다. 

-이익대비 PER은 13배 정도로 비싸다고 볼 수 있다.

 

3. 2022년 4분기 어닝 쇼크

 - 영업이익은 예상보다 낮게 나왔으나 매출액은 잘 맞췄다.(인플레이션 등등으로 매출액이 잘 나옴)

 - 오히려 4분기에 매출액이 잘 안 나왔으면 주가의 저점이 나왔을 것이다.

 

4. (국내주식) 반도체에 대한 전망

 - 반도체가 가격이 많이 하락되었으나 아직 계속 매수하기에는 퀀트적으로 부족하다. 1분기 실적 발표 후 실적치가 내려온 다음에 사는 것이 더 좋은 방법이다

 

5. (국내주식) 이차전지에 대한 전망

 - 1분기 실적모멘텀을 지켜봐야한다. 4분기 실적은 그렇게 좋지 않았다. 그래서 1분기 실적시즌에 이차전지 업체의 실적을 확인해야 한다.

4월 1번째 주부터 보고서가 나오기 시작할 것이다.

 

6. 매출하향조정을 준비하자

 - 현재 경제상황을 고려할 때 기업의 매출액이 개선되기 힘들다.

 - 영업이익 또한 낮아질 것이다.

 - 재고자산 회전율 또한 낮다. 

7. 투자 아이디어

 - 반도체는 투자 호흡이 길다면 좋은 투자 종목이다. 

 - 매출이 늘고 재고가 줄어드는 회사의 주가 상승률이 높다. 매출이 늘었는데 재고도 늘면 주가승상률이 좋지 않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