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실패담_2018년도 모두가 환희할 때 추가매수한 결과

2018년도 주식실패사례인 저의 투자 실패담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성공사례도 있었지만 그것을 공유하기보다는 이렇게 하면 안 된다는 점을 공유하고 싶었습니다.

(한줄요약) 주식시장에서 모두가 수익을 보고 환호할 때 추가매수하면 큰 실패를 할 가능성이 높다.

[2018년도 한국 주식 투자 실패사례]

- 2018년도 당시 저는 한국주식에만 투자하고 있었습니다.  2017년도에 성과가 상당히 좋았으므로 자신감에 가득 차있었습니다. 하지만 2017년도에 수익을 많이 거둔 건 제가 잘해서라기보다는 단순히 시장이 좋았기 때문입니다.

아래 그래프를 보면 2017년도에 미친듯한 상승장이 시작되어 2018년 9월까지도 엄청나게 좋은 장세가 이어졌습니다.

정말 아무거나 사도 오르던 시절이었습니다. 그때는 마치 제가 투자의 고수라도 된 것처럼 느껴졌습니다.

2018년쯤 저는 기업의 재무 분석을 할 수 있었지만 그것보다는 호재에 집착했습니다. 자산의 50%는 대형우량주에 50%는 단기투자 위주로 소형주에 투자했습니다. 계속 오르다 보니깐 20~30% 정도 오르면 팔고, 또 다른 종목을 사고 그런 시기가 이어졌습니다.

 

코스피 지수 2016년~2020년도, 2018년도는 미중 무역분쟁, 2020년도 시작은 코로나때문에 폭락하였다.

그러던 와중에 2018년 10월이 되었습니다. 2018년도 연초에 2580까지 갔던 코스피는 약간의 조정을 거쳐 2300대에서 횡보하고 있었습니다. 지수가 내려가자 그간의 투자 자신감이 붙은 저는 한번도 해본 적 없는 신용대출까지 일으켜서 모든 자산을 대형우량주 50%와 중소형주 50%에 투자하였습니다.

기대와 달리 횡보하던 시장은 2018년 10월부터 다시 미친듯이 내리꽂기 시작하였습니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 미국의 금리인상이 시작된 것입니다.

저는 그런 국제정세 분석이나 한국시장 분석을 하지 않은 채 사면 올랐던 16~18년도의 기억만으로 주식을 추가매수한 것입니다. 

 

저의 주식들은 우량주, 소형주 구분없이 -30% 이상 내려가기 시작했습니다. 현금이 없었으므로 매수도, 매도도 하지 못한 채 2020년까지 버티게 됩니다.

 

돌이켜보면 2018년에 모두가 환희에 찼고 전문가들은 코스피가 3000을 간다며 투자를 부추겼습니다.

이 때 냉정하게 시장을 분석하고 많이 오른 종목은 현금화를 하며 시장하락을 대비해야 했었네요

다음 글에는 22년도 투자 실패사례를 공유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